스캠퍼1
1. 스캠퍼(SCAMPER)란?
스캠퍼는 다르게 생각하기 기법이라고도 하며, 아이디어를 창출하고자하는 체크리스트이다. 브레인 스토밍 기법을 창안한 오스본(Alex Osborn)의 체크리스트를 에이벌(Bob Eberle)이란 사람이 약자로 재구성하고 발전시킨 것이다.
이 스캠퍼 기법은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자극하는 대표적인 체크리스트 중의 하나로 그 내용이 외우기 쉽고 아이디어 창출에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아이디어 발상 관련 교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.
S : 대치하기(Substitute) 기존 시각과는 다른 시각으로 생각을 유발하기 위해 기존의 것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면 어떻게 될지에 대한 질문으로 다른 무엇으로 '다른 누가', '다른 성분 이라면', 등과 같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.
C : 결합(Combine) 두 가지 이상의 것들을 결합해 새로운 것을 유발하기 위한 질문으로 '새로운 무엇과 결합시키면', 등과 같은 것이다.
A : 응용(Adapt) 어떤 것을 다른 분야의 조건이나 목적에 맞게 응용해 볼 수 있도록 생각을 우발하는 질문으로 '이것과 비슷한 것은', ' 이것과 다른 것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나', '과거의 것과 비슷한 것은' 등과 같은 것이다.
M : 변형(Modiify), 확대(Magnify), 축소(Minify) 어떤 것의 특성이나 모양 등을 변형하고나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새로운 것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이다.
P : 다르게 활용하기(Put to other uses) 다른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을 생각하도록 하는 질문으로 '다른 사용용도는'과 같은 것 이다.
E : 제거(Eliminnate) 어떤 것의 일부분을 제거해 봄으로써 새로운 것을 생성해낼 수 있도록 하는 질문으로 '이것을 제거해 버리면', '없어도 할 수 있는 것은', ' 수를 줄이면', 등과 같은 것이다.
R : 뒤집기(Reverse), 재배열(Rerrange) 주어진 것의 순서나 모양 등을 거꾸로 해 보가나 다시 배열해 보도록 하여 새로운 것을 생성해 내도록 하는 질문으로 '거꾸로 하면', '역할을 바꾸면', '순서를 바꾸면', '원인과 결과를 바꾸면' 등이 있다.
E : 삭제하기(Elimination) 어떤 부분을 삭제, 소거시키면 어떨지를 생각한다. 예를 들면 덮개 없는 오픈카, 단추 없는 옷 등이 있다.
R : 재배치하기(Rearrange) 순서나 배치를 달리하면 어떨지를 생각한다. 예를 들면 9시 출근을 10시나 7시로, 근무 장소를 사무실에서 가정으로 하는 것이 있다.
R : 전도하기(Reverse) 전후좌우, 안과 밖, 대소 등 형태, 순서, 방법, 아이디어를 거꾸로 뒤집는